맨위로가기

바보 (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보 (타로)는 타로 카드의 메이저 아르카나 중 하나로, 자유, 순수, 가능성, 발상력 등을 의미하며,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해석되어 삶의 여정을 상징한다. 바보 카드는 정위치와 역위치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니며,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의 해석에 따르면 광기, 사치, 중독 등과 관련된다. 역사적으로 바보는 번호가 매겨지지 않거나 '0'으로 표기되었으며, 조커의 전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타로 게임에서는 특수한 역할을 하며, 프랑스 타로에서는 "l'Excuse"로 불리며, 중앙 유럽에서는 최강의 카드로 취급된다. 한국 문화에서는 광대 캐릭터와 유사성을 보이며,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 아르카나 - 매달린 사람
    매달린 사람은 타로 카드의 한 종류로, 거꾸로 매달린 남자의 모습으로 수행, 인내, 희생 등을 상징하며, 긍정적, 부정적 의미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 대 아르카나 - 여교황
    여교황은 타로 카드의 주요 카드 중 하나로, 라 파페스 또는 대사제녀라고도 불리며, 역사적 해석과 전설, 그리고 다양한 상징을 지니고 있으며, 라이더-웨이트 타로와 마르세이유 타로에서 각기 다른 이미지와 의미로 표현된다.
  • 점복 - 타로
    타로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78장으로 이루어진 카드 덱으로, 게임용으로 사용되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점술과 오컬트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대 아르카나 22장과 완드, 소드, 컵, 코인 네 종류의 수트로 구성된 소 아르카나 56장으로 나뉜다.
  • 점복 - 사주팔자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난 년, 월, 일, 시를 간지로 나타내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명리학의 한 분야이며,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오행, 십이운성, 십성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 직업, 길흉성패 등을 판단한다.
바보 (타로)
타로 카드
라이더-웨이트 타로의 바보 카드
라이더-웨이트 타로의 바보 카드
다른 이름르 마 (프랑스어: Le Mat)
숫자0 (또는 22)
히브리 문자알레프 (א) 또는 신 (ש)
위치생명의 나무의 케테르에서 코크마 (알레프) 또는 말쿠트에서 호드 (신)
원소공기 (알레프) 또는 불 (신)
점성학적 연관천왕성 (주로) 또는 물병자리 (대안으로)
해석
일반적인 의미새로운 시작
자유
모험
순수
믿음
무모함
혼돈
긍정적인 측면낙천주의
용기
열정
창의성
부정적인 측면어리석음
무책임
충동성
위험 감수
키워드시작
가능성
잠재력
자유
모험
위험
직관
믿음
무지
순수
무질서
광기
상징흰색 장미: 순수와 무죄
지팡이: 가능성과 잠재력
벼랑: 위험과 무지
개: 충성심과 보호
카드 설명
설명바보 카드는 일반적으로 벼랑 끝에 서 있는 젊은 남자로 묘사된다. 그는 지팡이에 짐을 지고 있으며, 흰색 장미를 들고 있다. 그의 옆에는 작은 개가 짖고 있다. 그는 세상에 대해 순수하고 무지하며, 새로운 시작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참고
주의사항타로 카드의 해석은 개인의 직관과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카드의 의미

바보 카드는 마르세유 타로에서는 '르 마(Le Mat)', 대부분의 이탈리아어 타로 덱에서는 '일 마토(Il Matto)'라고 불리는데, 이 단어들은 "미치광이" 또는 "거지"를 의미하는 고어이다.[1]

초창기 타로 덱에서 바보는 보통 거지나 부랑자로 묘사되었다. 비스콘티-스포르차 타로 덱의 바보는 낡은 옷을 입고 신발 없이 양말을 신고 있으며, 등에 지팡이를 지고 있다. 머리카락에는 깃털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거친 수염과 깃털은 우드워즈 또는 야인 전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

마르세유 타로와 관련 덱에서 바보는 광대 모자를 쓴 수염 난 사람으로 묘사되며, 항상 등에 지팡이에 매달린 짐 묶음을 가지고 다닌다. 그는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에게 쫓기며 바지가 찢어지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라이더-웨이트 덱을 비롯한 점술용 덱에서 바보는 절벽 가장자리로 걸어가는 젊은 남자로 묘사된다. 라이더-웨이트 타로 덱에서 바보는 작은 개와 함께 있으며, 한 손에는 흰 장미(저속한 욕망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를, 다른 손에는 미개척 집단 지식을 나타내는 작은 소지품 묶음을 들고 있다.

프랑스식 카드 타로 덱은 이탈리아식 카드 덱의 전통적인 상징적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바보는 조커를 연상시키는 광대나 음유 시인으로 묘사된다.

많은 타로 카드 해석 시스템에서 바보는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해석되며, 메이저 아르카나는 바보가 삶의 위대한 미스터리를 통과하는 여정("바보의 여정")으로 여겨진다.[17]

A. E. 웨이트의 1910년 저서 ''타로 그림 열쇠''(The Pictorial Key to the Tarot)에서는 바보 카드가 광기, 사치, 중독, 델리리움, 광란, 누설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카드가 역방향일 경우 부주의, 부재, 분배, 부주의함, 무관심, 무효, 허영을 의미한다.[2]

정위치와 역위치에 따른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바보 카드의 의미
정위치역위치
자유, 형태에 얽매이지 않음, 무사기, 순수, 천진난만, 가능성, 발상력, 천재경솔, 제멋대로, 낙오, 부정적, 짜증, 초조함, 의기소침,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2. 1. 정위치의 의미

자유, 형태에 얽매이지 않음, 무사기, 순수, 천진난만, 가능성, 발상력, 천재와 같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1]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타로 도해 해설에서는 몽상, 우행, 극단, 열광을 의미한다고도 한다.[2]

2. 2. 역위치의 의미

경솔, 제멋대로, 낙오 등의 의미를 가진다.[1]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타로 도해 해설에서는 몽상, 우행, 극단, 열광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1] 이외에도 부정적, 짜증, 초조함, 의기소침,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등의 부정적인 의미도 포함한다.

3. 역사

웨이트-스미스 이전의 덱에서 바보는 거의 항상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았다. 몇 가지 예외가 있는데, 일부 오래된 덱(15세기 솔라 부스카)은 카드에 0번을 매겼고, 18세기 벨기에 덱은 바보를 XXII로 표기했다.[3] 바보는 역사적인 덱에서 트럼프 시퀀스와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바보를 가장 낮은 트럼프이자 가장 높은 트럼프로 간주하는 선례가 있다.

바보는 조커의 전신일 수 있다. 그러나 조커는 1850년대에 유커 게임을 위한 영구적인 트럼프로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4]

피어폰트 모건 베르가모 (1451년경)


피에몬테 타로에서 바보는 0번으로 시작하지만, (트럼프가 아닌) 변명으로 사용된다.

4. 상징과 도상학

"바보" 카드는 다양한 상징과 도상으로 가득 차 있다.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타로 도해에서는 몽상, 우행, 극단, 열광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35]

마르세유판 타로와 웨이트판 타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여행자: 바보는 한 명의 여행자 같은 남자로 묘사된다. 이는 메이저 아르카나 중 유일하게 이동하는 인물이 그려진 카드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 : 바보의 뒤를 따르는 개는 마르세유판에서는 바보의 바지를 물어뜯고, 웨이트판에서는 바보와 함께 걷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 지팡이와 짐: 바보는 지팡이를 짚고 짐을 메고 있는데, 이는 방랑하는 삶을 상징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바보가 가진 자유분방함, 예측 불가능성, 잠재력 등을 나타낸다.

초창기 타로 덱에서 바보는 보통 거지나 부랑자로 묘사되었다. 비스콘티-스포르차 타로 덱에서는 낡은 옷을 입고 신발 없이 양말을 신은 채 등에 지팡이를 지고 있으며, 머리카락에는 깃털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우드워즈 또는 야인의 전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만테냐 타로치 시리즈의 첫 번째 카드인 '미세로' 역시 지팡이에 기대어 있는 거지를 묘사한다.[1] 독일의 ''Hofämterspiel''에서는 바보가 로브를 입고 맨발로, 머리에 종이 달린 채 백파이프를 연주하는 남자로 묘사된다.[2]

18세기 피에몬테 지방의 세디치(Sedici)와 그 변형 게임에서는 바보를 최하위 트럼프로 취급했으며, 1점의 가치를 지녔다.[26][27] 이는 시칠리아 타로치의 ''미제리아(Miseria)'' 트럼프와 유사하다.

4. 1. 마르세유 타로

마르세유판 타로에서 바보는 화려한 의상과 을 착용하고, 오른손에는 지팡이를, 왼손에는 끝에 가방 같은 것을 단 막대기를 오른쪽 어깨에 메고 이 무성한 황야를 걷는 모습으로 그려진다.[35][36] 뒤에는 가 따라가며 앞발을 인물의 오른쪽 다리 부근에 대고 있다. 마르세유판 바보는 추상적인 그림이라서 보는 각도에 따라 뒷걸음질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는 바보의 에너지가 무의식적이며, 일정한 방향성 없이 자유롭게 발현됨을 나타낸다. 그러나 동시에 그 자체가 목적이라고 해석되기도 해, 이 카드의 양면성을 보여준다.[35][36]

바보가 이동하는 모습으로 그려진 것에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는 1부터 21까지의 각 카드를 순서대로 밟아 나가는 '''어떤 목적을 가진 여행자'''라는 해석이고, 둘째는 다른 21장의 메이저 아르카나나 다른 카드를 의식하지 않고 완전히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완전히 무계획적인 방랑자'''라는 해석이다. 이 두 해석은 양립하며 다양하게 활용된다.[35][36]

이 두 해석을 상징하는 것은 바보의 의상이다. 배색, 장식, 특히 목과 허리에 달린 방울피에로를 연상시킨다. 마법사 의상처럼 계획성이 느껴지지는 않지만, 방울은 이 인물의 윤회를 나타낸다는 해석 외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 지팡이 역시 여행 보조나 광대봉과 관련지어 해석하는 경우 외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35][36]

이는 바보가 자신의 옷, 지팡이나 짐, 나아가는 방향이나 목적, 주변 환경에 대해 특별한 관심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바보 뒤의 개를 인지하지 못하고, 바지 오른쪽 다리는 개에 의해 찢어진 채로 있다. 그러나 상징적으로 보면 바보는 결코 무능한 인물이 아니다.[35][36]

바보는 황금 관을 쓰고 있는데, 관은 의 소유물이자 권력의 상징이며, 황금 관은 천상의 과 교신하기 위한 영적 요소도 갖춘 상징이다. 이는 바보가 과거에 어떤 종류의 적인 힘과 권력을 가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 바보가 멘 짐과 막대기는 남근 상징이며, 번식과 풍요를 의미한다.[37] 이러한 상징은 트릭스터와 관련성을 강조하며, 바보가 광대처럼 대립되는 두 극(어리석음과 계산적인 측면)을 가짐을 나타낸다. 즉, 바보는 '''계획이 없지만, 계획이 없는 것도 아닌''' 모순적 존재이다.[35][36]

4. 2. 라이더-웨이트 타로

웨이트판 타로의 그림에 그려진 인물은 젊은 여행자로, 젊음은 미숙함을 나타낸다. 는 여행자의 파트너로, 전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젊은이는 왼쪽을 향하고 있는데, 상징적으로 왼쪽은 과거·정신 세계 등을 의미한다. 여행자는 자신의 눈앞에 벼랑이 다가온 것을 아직 눈치채지 못했다. 웨이트판의 바보는 지금 확실히 벼랑을 향하고 있지만 벼랑에 떨어질지, 단념할지는 여행자 나름이다.[35]

라이더-웨이트 덱 및 점술을 위해 만들어진 다른 밀교 덱에서 바보는 절벽 가장자리로 알지 못하고 걸어가는 젊은 남자로 묘사된다. 바보는 한 손에는 흰 장미 (저속한 욕망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를, 다른 손에는 미개척 집단 무의식 지식을 나타내는 작은 소지품 묶음을 들고 있다.[37]

4. 3. 기타 덱

프랑스식 카드 타로 덱에서 바보는 일반적으로 조커나 음유 시인을 연상시키는 광대로 묘사된다.

5. 점성술 및 카발라와의 관계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타로 도해에서는 몽상, 우행, 극단, 열광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히브리 문자 알레프(א)와 관련이 있으나, 여러 이설[30]이 존재한다. 황금새벽단에서는 케테르와 코크마의 세피라를 연결하는 경로와 관련지었다.

바보 카드와 점성술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설이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며, 이는 바보 카드가 가진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5. 1. 점성술과의 대응 관계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의 타로 도해 해설에서는 몽상, 우행, 극단, 열광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31]

바보 (타로)와 점성술과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종류내용
별자리황소자리설, 게자리설, 사자자리설, 전갈자리[20]
행성태양설, 설, 천왕성[21], 명왕성[22], 지구[23], "명왕성 + 화성"설[24]
기타성운[25], 4원소 중 바람의 원소설


5. 2. 카발라와의 관계

히브리 문자 알레프(א)와 관련이 있으며, 여러 이설이 있다.[30] 황금새벽단의 설에서는 케테르와 코크마의 세피라를 연결하는 경로와 관련된다.[19]

6. 타로 게임에서의 역할

트릭 테이킹에서 바보 카드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취급된다.

프랑스 타로 게임에서 바보는 '변명(l'Excuse)'이라 불리며 특별한 카드로 다루어진다. 바보는 언제든 낼 수 있고, 으뜸패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장 약한 카드로 트릭에서 이길 수 없다. 대신 카드를 낸 사람의 소유가 되며, 높은 점수를 받는다. 보통 만돌린을 든 광대 그림이 그려져 있다.

오스트리아 등 중앙 유럽에서는 바보가 22번째이자 가장 강력한 비장의 카드로 사용된다.

타로 카드 게임에서 가장 흔한 두 종류의 바보 카드, 타로 누보의 'l'Excuse' (왼쪽)와 Sküs(오른쪽)


대부분의 타로 카드 게임에서 바보는 일반 수트 카드 및 트럼프 카드와 독립적인 역할을 하며, 번호가 없다. 타로 누보 덱은 바보의 모서리에 검은색 거꾸로 된 별을 표시하기도 한다.[5][6]

6. 1. 프랑스 타로

프랑스의 타로 게임에서 바보는 '변명(l'Excuse)'이라고 불리며, 비장의 카드와는 다른 특수 카드로 취급된다. 바보는 마스트 보충 룰(마스트 팔로우 규칙)에 따르지 않고 언제든지 낼 수 있다. 으뜸패로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바보는 가장 약한 카드로, 트릭에서 이길 수는 없지만, 카드는 낸 플레이어의 소유가 된다.[5][6] 바보 카드는 비장의 카드 1, 21, 킹과 함께 고득점 카드이다. 보통 만돌린을 가진 광대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프렌치 타로의 사소한 변형 옵션에서, 트럼프 1을 받았지만 다른 트럼프나 바보가 없는 플레이어는 트럼프 1을 바보와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쁘띠 임프레너블'').[7]

6. 2. 오스트리아 및 중앙 유럽

오스트리아 등 중앙 유럽에서 바보는 최강의 22번째 비장의 카드로 취급된다.[8] 쾨니히루펜에서 바보는 잡힐 수 있지만, 트럼프 21번과 1번과 같은 트릭에서 사용된 경우에만 잡힐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럼프 1번이 이긴다. 이를 황제의 트릭 또는 동화 트릭이라고 부른다.[9] 헝가리안 타로크에서 트럼프 21번을 바보에게 잃은 플레이어는 전통적으로 바보 모자를 써야 한다.[10]

6. 3. 기타 변형

프랑스 타로와 드로겐에서, 바보는 면책 카드이지만, 드물게 가장 높은 으뜸패가 되기도 한다. 바보를 가진 플레이어가 이전의 모든 트릭에서 이겼다면, 마지막 트릭에서 바보는 가장 높은 으뜸패가 된다.[11]

트로구에서, 바보는 가장 높은 으뜸패이지만, 플레이어가 가진 마지막 으뜸패일 경우, 플레이어는 수트를 따르는 대신 다른 카드를 내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보는 더 이상 으뜸패가 아니라 마지막 트릭을 위해 남겨두어야 하는 면책 카드가 된다.[12]

타로키니에서 ''Matto''(바보)와 ''Bégato''는 ''contatori''(계산자)라고 불리며, 이는 제한적인 형태의 와일드 카드이다.[13] 이들은 조합에서 누락된 부분을 채우거나 조합을 확장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연속적인 조합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갭을 채울 수는 없다.[14] 이들은 최고 으뜸패나 왕을 대체할 수 없다. 바보는 잡힐 수 없는 반면, 마술사는 취약하기 때문에 두 카드 모두 모든 시퀀스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마술사를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는 신중하게 사용하고 싶어 할 것이다.[15]

덴마크의 ''tarok'' (그로스타록 게임)에서 바보는 플레이 전에 선언하는 동안 누락된 카드를 대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바보를 사용하여 완성된 멜드는 자연스러운 멜드에 비해 포인트가 절반만 가치가 있다. 또한, 트릭을 리드할 때 바보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모든 수트의 가장 약한 카드로 변할 수 있지만, 이는 면책 사유처럼 플레이어의 트릭 더미로 보내진다. 그러나 상대방이 지정된 수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들은 트릭의 수트를 설정할 권리를 얻을 수 있다.[16]

7. 한국 문화와의 관련성 (추가)

한국 민간 신앙과 전통 연희에 나타나는 광대나 어릿광대 캐릭터는 타로 카드의 바보와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봉산탈춤의 말뚝이는 양반을 풍자하고 조롱하는 인물로, 사회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바보 카드와 유사하다. 꼭두각시놀음의 박첨지 역시 기존 질서에 도전하고 익살스러운 행동으로 웃음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바보와 비슷한 면모를 보인다.

하지만 한국 전통 연희 속 광대들은 단순한 '바보' 이미지를 넘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민중의 애환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들은 때로는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권력층의 부조리를 꼬집고, 민중의 억눌린 감정을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

한국 사회에서 '바보'라는 단어는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를 모두 내포한다. 어리석고 순진하여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때로는 순수하고 욕심 없는 사람을 칭찬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바보 노무현'처럼 기득권에 맞서 원칙을 지키고 소신을 굽히지 않는 인물을 긍정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반면, 국민의힘 및 보수 진영에서는 '바보' 이미지를 상대방을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바보'라는 단어는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타로 카드의 바보가 가진 복합적인 상징성과 연결될 수 있다. 바보 카드는 단순한 어리석음을 넘어, 기존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 순수함, 새로운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러한 바보 카드의 의미는 한국 문화 속 '바보' 이미지와 연결되어 더욱 풍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8. 현대적 해석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의 1910년 저서 ''타로 그림 열쇠''(The Pictorial Key to the Tarot)에 따르면, 바보 카드는 광기, 사치, 중독, 델리리움, 광란, 누설과 관련이 있다. 카드가 역방향일 경우 부주의, 부재, 분배, 부주의함, 무관심, 무효, 허영과 관련된다.[17]

많은 타로 카드 해석에서 바보는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해석되며, 메이저 아르카나는 바보가 삶의 위대한 미스터리를 통과하는 여정을 나타낸다. 이 여정은 전통적으로 카드 점술에서 "바보의 여정"으로 알려져 있으며, 메이저 아르카나 카드의 의미를 초심자에게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7]

참조

[1] 웹사이트 Tarocchi di Mantegna, c.1465 http://www.wopc.co.u[...] 2023-06-26
[2] 웹사이트 Hofamterspiel, c.1460 http://www.wopc.co.u[...] 2022-05-28
[3] 웹사이트 Belgian tarot http://l-pollett.tri[...]
[4] 서적 The Oxford Guide to Card Gam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arot Nouveau decks manufactured in France http://a.trionfi.eu/[...]
[6] 웹사이트 Tarot Nouveau deck from Austria http://a.trionfi.eu/[...]
[7] 웹사이트 Petit imprenable rule http://www.pagat.com[...]
[8] 웹사이트 Tarot games http://www.pagat.com[...]
[9] 웹사이트 Konigrufen rules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Hungarian tarokk http://www.pagat.com[...]
[11] 웹사이트 French tarot http://www.pagat.com[...]
[12] 웹사이트 Troggu rules http://www.pagat.com[...]
[13] 웹사이트 Tarocco Bolognese deck http://a.trionfi.eu/[...]
[14] 웹사이트 Tarocchino Bolognese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Tarocchini sequences http://www.pagat.com[...]
[16] 웹사이트 Danish tarok http://www.pagat.com[...]
[17] 문서
[18] 웹사이트 Playing Card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3-07-14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또 바보
[37] 문서 르네상스 시대의 할리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